메소드 연기 Method acting
보통은 배우가 실감나는 연기를 할 때 메소드 연기가 돋보였다고 한다.
실제의 뜻도 크게 다르지 않다. 배우들이 생각과 감정을 배역에 완전히 몰입하려 실제 인물인냥 연기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는 러시아의 연극연출가이자 배우였던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가 프로이트 심리학의 영향으로 리얼리즘 연극을 본격화하기 위해 만든 이론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스타니슬라프스키 연기론이라고도 한다.
1934년에 소련에서 공인받았고 1950년대 이후 미국에서도 역시 지배적이었던 연기 스타일이었다.
메소드 연기자들은 인물의 외면적인 행위를 단순히 흉내내는 것에 그치지 않고, 내면적으로도 그 인물을 진짜 살아있는 것으로 보이기 위해 연구하는데, 심리적으로 집중, 인물 탐구, 폭넓은 리허설, 실감나는 감정 묘사 등이 바로 그런 것들이다.
오마쥬 homage
요번에도 국내 모드라마 포스터가 십년 전쯤 발간된 어떤 잡지 표지와 거의 흡사한 구도와 칼라로 표절 의혹에 휩싸였다. 이번에도 관계자가 어디선가 많이 들어본 이 말을 했는데, 이것은 표절이 아닌 오마쥬의 일종이라는 것이다.
판단은 이 오마쥬라는 말의 뜻을 정확히 알아보면 누구든 쉽게 내릴 수 있을 거라 본다.
오마쥬란 프랑스어로 존경, 존중을 뜻한다.
문학, 미술, 음악 등 여러 예술 분야에서 존경하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영향으로 비슷한 작품을 창작하거나 원작 그대로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영화 속에서 역시 다른 영화나 영화 감독, 아니면 그 스타일 등을 존경과 애정의 찬사로서 직간접적으로 인용하거나 참조하는 것을 말한다.
참조 : <영화의 이해>(2016), 루이스 자네티 저, 반만준 · 진기행 역
영화 용어
메소드 연기 / 오마쥬
반응형
반응형
댓글